아르메니아 대학살

모르고 있는 사람들이 꽤 많지만, 세계 곳곳에서는 전쟁이 한창이다. 그만큼 인명피해 역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오늘 정리 할 아르메니아 역시 '아제르바이잔'이란 나라와 치열한 전쟁을 벌이고 있다.

아르메니아의 대학살
오스만투르크 제국(현재 터키)이 아나툴리아 동부에서 거주하는 기독교계 아르메니아인을 두 차례(1894~94, 1915~16)에 걸쳐 학살한 사건이다. 이 사건을 현대의 첫 조직적 집단살해사건으로 인정하는 견해가 대다수이나, 터키 정부에서는 이를 강제이주에 따른 희생이라고 주장하면서 집단살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아르메니아 집단학살 또는 아나톨리아 집단학살 이라고 불려진다.



발단
1894~94
19세기 말, 러시아가 남하정책을 펴며 남카프카스를 점령하자 1877년 러시아와 오스만제국 간에 전쟁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러시아가 아르메니아인 거주 지역의 북동부까지 점령한 것이 대규모 학살사건의 시작이 되었다.

러시아-투르크 전쟁을 계기로 독립을 희망하던 아르메니아인들은 러시아를 지지하며 1894년 오스만제국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나톨리아' 동부에 거주하던 이슬람주의자와 기독교계인 아르메니아인 간에 충돌이 일어났고,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무차별 학살과 탄압이 이뤄졌다.

1915~16
1914년 세계 1차대전이 발발하였고 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의 3국동맹과 영국∙프랑스∙러시아의 3국협상 간의 대치구도가 형성되었다. 오스만제국은 러시아가 속한 연합국에 맞서기 위해 3국동맹에 가담하였다. 이때 러시아 접경에 위치한 아르메니아 혁명세력이 오스만제국을 공격하고 1915년 영국군이 터키의 갈리폴리 반도에 상륙하고, 곧 콘스탄티노플마저도 함락될 위기에 놓였다.

그러자 터키 정부는 아나톨리아에 사는 아르메니아인들을 그들의 집단거주지에서 터키내지로 강제 이주시켰다. 전쟁 중인 자신들의 뒤에서 독립을 위해 봉기할지 모른다고 판단한 것이다. 기차도 연결되지 않은 '죽음의 행진' 과정에서 아르메니아인들은 추위와 기아, 질병, 강제노동 등으로 쓰러져갔다. 살아남은 다수의 아르메니아인들도 이라크∙시리아∙팔레스타인 등으로 강제 추방되었다.






제노사이드 [ genocide ]
국제 사회에서는 아르메니아 대학살을 제노사이드와 연관짓곤 한다. 제노사이드는 유대인 출신의 폴란드 법학자 라파엘 렘킨이 처음 제시하였고, 이는 1948년 유엔협약을 통하여 국제적 인정과 동의를 얻게 되었다. 이 협약은 제노사이드를 "민족적, 인종적, 혹은 종교적으로 구성된 주민집단의 전체 혹은 일부를 몰살시키고자 시도하는 행위" 로 정의하였고, 인종학살과 인간성에 반하는 범죄행위를 공개적으로 부정하거나 악의적으로 정당화시키는 사람을 처벌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다.

그러나 각 국가와 학자의 입장에 따라 희생자 집단의 성격, 살해의 의도와 범위 등에 대한 판단의 차이가 필연적으로 도드라짐으로써 국가간 이견충돌을 야기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그리고 갈등

오스만제국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후 1923년 터키공화국이 되었다. 현재 터키 정부는 이 사건을 오스만제국을 침공한 러시아군에 직∙간접적으로 가담했던 아르메니아인 전투원이나 스파이들의 죽음이라고 설명한다. 즉 이때의 희생자가 대부분 아르메니아인인 것은 전시 상황에서 최전선의 혼란으로 인한 불행으로 간주하고 있는 것이다.

피해자 수에 대한 견해차이도 존재한다. 터키 측은 20만 명 정도로 추산하지만, 아르메니아 측은 2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한다. 미국∙유럽∙일본 등의 일부 연구자들은 60만명에서 80만 명 정도라는 견해를 내놓고있다.

2006년 프랑스 하원은 아르메니아 학살을 '제노사이드'로 규정하며 이를 부인하는 사람을 처벌하는 법안을 절대 다수의 지지 속에 통과시켰다. 이에 터키는 강하게 반발했으며 자국의 국제입찰에 프랑스 기업의 참여를 배제하고, 이슬람인들에게 프랑스 제품의 불매운동을 호소는 등의 반 프랑스 행보를 벌이고 있다.
참고로 프랑스는 홀로코스트의 공개적 부정을 처벌하는 법안을 1990년 통과시켰고, 2001년 유럽의 노예제를 '반인률 범죄'로 인정하는 법률을 통과시킨 바 있다. 


참조 사이트
  • 이미지1 출처 - 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973121&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1967_000_1%2F20120502102150747_JBUTBIHDN.jpg%2Fba2_2-2-230_i1.jpg%3Ftype%3Dm4500_4500_fst_n%26wm%3DY&cid=43667&categoryId=43667
  • 이미지2 출처 -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81112.html
  •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81112.html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8631&cid=50299&categoryId=50299
  •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A5%B4%EB%A9%94%EB%8B%88%EC%95%84_%EC%A7%91%EB%8B%A8%EC%82%B4%ED%95%B4#.ED.94.BC.ED.95.B4.EC.9E.90_.EC.88.98
No comments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

Popular Posts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