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정리] 기획이란 무엇일까.

본 포스팅에서는 기획 업무에 대한 정의 내리고, 흔히 말하는 '기획력' 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보도록 할 예정이다. 나는 엄밀히 말하면 '기획자'라는 타이틀로 일하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어떤 문서를 작성할때, 사업을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해 방안을 고민할때,) 나는 모든 업무의 순간순간 '기획'을 하고 있기 때문에, '기획'이라는 것에 대해 조금더 자세히 알고 싶어졌다. 1. 기획과 관련한 용어 정의 1. 기획의 본원적 정의 기획이란 도모할 기, 계획할 획, 즉 계획을 도모하는 것이다. 2. 기획의 조직적 정의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개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환경 요소를 분석/고려 하여 실행자의 핵심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압안된 기획자의 의도가 분명히 투영된...

Continue reading

No comments

클라우드컴퓨팅 및 이용자 보호 관한 법률 요약서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클라우드컴퓨팅 법령의 준거성 및 관련 조항 -1. 제정목적이 법은 클라우드컴퓨팅의 발전 및 이용을 촉진하고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국민생활의 향상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2.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미래창조과학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계획 및 시책을 종합하여 3년마다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제7조에 따른 정보통신 전략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하여야 하며,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매년 소관별 시행계획을 수립ㆍ시행하도록 함(제5조).3.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 촉진 방안(1) 클라우드컴퓨팅 관련 정부 지원관계 중앙행정기관은 클라우드컴퓨팅...

Continue reading

No comments

[서평] 젊은 기획자에게 묻다 - 기획은 어떻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가?

인터넷 어딘가에서 이 책에 대해 소개하는 글을 보았다. 우선 기획에 관련된 주제이며, '젊은 기획자' 라는 타이틀이 나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책에서 말하는 젊은 기획자는 과연 어떤 사람일지, 그리고 무엇을 기획하는 사람일지 알고 싶어졌다. 책에 관해서는 참을성이 없는 나는 그 자리에서 바로 책을 구매했다. (또한 책이 굉장히 이뻤다. 아기자기 하다는 표현이 맞을까. 출판사의 이름도 "남해의 봄날" 로 굉장히 매력적으로 다가 왔다.) "기획은 모든 일의 시작이자 결과를 향한 과정이다. 세상에는 많은 직업이 있고 각기...

Continue reading

No comments

[서평] 독서천재가 된 홍대리

처음에 이 책을 읽어보기 전에는 참 책 제목이 유치하다고 생각했다. "독서 천재" 라니.. 굉장히 무언가 우스워보였다. 이 책은 두명의 스타작가 (이지성, 정회일) 가 공동으로 쓴 책이다. 사실 책의 중요성은 항상 강조되어 왔다. 항상 우리들은 그냥 무시해왔던게 사실이다. 나도 책을 정기적으로(?) 읽기 시작한지는 얼마되지 않는다. 바쁘다는 핑계, 일이 많다는 핑계, 데이트 해야 한다는.. 등등 각종 핑계로 자기합리화를 하며 책을 읽지 않았다. 사실 나는 이번 여름휴가를 떠나지 않았다. 딱히 약속이 없었으며 날씨가...

Continue reading

No comments

[서평] The One Page Proposal - 강력하고 간결한 한 장의 기획서

'One page propoal' 에 대한 책은 회사 부장님이 강력하게 하신 책이 었다.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The one page proposal" 이란 책이었다. 이 책을 도서관에서 찾아보았으나 불행히도 비치되지 않은 책이었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한페이지 보고서, 기획서_김용무 지음>" 란 책을 읽었다. 예상과는 다르게 이 책도 굉장히 좋은 책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부장님이 추천해 주신 책이 저 책 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처음에 보려고 했던 책 (The one page proposal) 에 대한 호기심과,...

Continue reading

No comments

[서평] 성과가 달라지는 업무정리의 기술 8단계

저자는 업무기술 8가지를 예를 들면서 설명한다. 전체적으로 쉽게 읽히는 책이다. 어려운 내용이 없으며 누구나 직장인이라면 생각하고 겪어봤을 사항에 대해 정리해 놓았다. 결국 드는 생각은 실천의 여부인것 같다. 어찌보면 쉬운내용인데 이것을 실천하는가 안하는가. 그 중 공감하며 좋은 사항들만 메모하여 기록하였다. 1. 업무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로직트리 기법'  : 트리의 꼭대기에 일을 올려놓고 그 요소를 분해하는 형태 예) 커피 숍의 이익을 높이는 방법 1. 매상을 늘린다. 객단가를 높인다. 고객...

Continue reading

No comments

[강연] 죽음에 대한 고찰 그리고 스타트업의 경쟁우위

1. 스티브잡스의 '죽음'에 대한 고찰, 그리고 스타트업의 경쟁우위 요인 "저는 항상 느껴왔어요 죽음은 생의 가장 위대한 발명이라고" "죽음이 없다면 진보는 굉장히 적을 겁니다." 스티브잡스는 '죽음' 은 '생의 가장 위대한 발명'이라고 말한다. 죽음은 인간에게 시간의 중요성을 인지시켜주며, '특정 세계관에 정착하고 그것에 만족하는 것'에 대해 경각심을 줄 수 있다고 한다. 즉, 죽음이 있기에 인간이 현재에 만족하지 않고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발전한다는 것이다.  스타트업의 경쟁우위는 바로 위와 같은 논리에서 기인된다. 이미 탄탄하게 기반이 다져진 대기업의 경우, '죽음' 이라는 현상을 실감하기 어려울 것이다. (우리가 삼성, LG 가 망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과...

Continue reading

No comments

ISO 심사원의 뇌 구조

웹 서핑 중 재미있는 글을 발견했습니다. ISO 심사원의 뇌 구조를 확인하고 각각에 따른 심사 응대 방식을 설명하는 글입니다. 인증 심사에서 무엇을 기대할 것인가? "만약 심사위원이 무슨생각을 하는지 이해한다면, 스트레스를 조금더 받지 않을까?" 심사위원의 뇌는 아래와 같이 8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KNOWLEDGE QUEST ANNOYANCE HAPPYNESS EXPECTATIONS PROHIBITED AUTHORIZATION KNOWLEDGE Knowlege - 심사원이 어떤 스탠다드에...

Continue reading

No comments

Popular Posts

Powered by Blogger.